-wirelesshosts(laptop,SmartPhone,TabletPC) 유선망에서 엔드 호스트처럼 무선 호스트에도 앱이 작동 중. 한 곳에 머무를수도, 이동할수도 있음. 무선이어도 액세스 포인트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접속이 끊어진다. 나중에 새롭게 다른 곳에 사용자가 접속을 해야 되는 경우는 모빌리티가 없는 경우 -base station 호스트의 일종인데, 인터넷과 같은 망에 접속하는 지점 유선망과 무선 호스트를 연결하는 접점과 같다 패킷을 서로 relay해주는 역할. 기지국과 액세스 포인트... -wireless link 유선 링크 대신, 무선 링크가 있다. 무선 호스트와 base station을 이어준다. backbone link... 무선전화망, 백엔드의 인터넷망 -무선 네트워크여도 베이스와..
랜덤 액세스 기술 -full data rate -개별적 수행, 협의없음 -ALOHA, CSMA ALOHAnet 모든 프레임 길이가 같음. 될 때까지 보냄 효율 낮음. efficiency 20퍼 이하 ->Slotted ALOHA 모든 노드들 시간이 맞춰짐 전체 air time을 똑같은 타임슬롯으로 나눔 해당 슬롯의 시작 시간에 맞추어서 전송 시작 될 때까지 마구잡이로 보내는 것을 시간 쪼개 놓고 하는 것. 충돌 안 날때까지!! 데이터 충돌이 중간에 겹치는 경우가 없다. 두 개 이상의 노드들이 같은 타임슬롯을 사용하면 그 때 충돌 발생. ALOHA에서는 선택한 타임슬롯 외에도 직전 한 타임슬롯 내에도 다른 노드가 전송되지 않아야 하는데, slotted ALOHA에서는 선택한 슬롯에서만 누군가 전송하지 않으면..

네트워크 레이어 -데이터 평면(data plane) : 라우터 입출력 링크 과정(4장) -제어 평면 (control plane) : 어떤 경로를 통해 통신을 구성할 것인가(5장) 송신 호스트에서 수신 호스트로 패킷을 전달해보자! forwarding(나노초 단위) -패킷이 라우터 input 링크에 도착했을 때 그 패키을 적절한 output 링크로 이동시키는 것. forwarding taable에 따른다. -데이터 평면에서 구현되는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기능 routing(조금 더 긴 초 단위) -송신자가 수신자에게 패킷을 전송할 때 어떤 라우팅 경로(routing route)를 통해서 전송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. 주변의 정보 공유에 의해서.(분산 라우팅 알고리즘) 이루어진다. -경로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..